미시건대 통계학 최고 권위자, 415총선 부정선거 밝혔다.
포럼(Forums) › 뉴스 앤 이슈 › 미시건대 통계학 최고 권위자, 415총선 부정선거 밝혔다.
-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캡쳐 >
28일, 정훈 와세다 대학교 준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부정선거 논란이 일고 있는 대한민국의 4.15총선과 관련해 미국 미시건대학교 정치학과(미국 정치학과 랭킹 4위)에 재직중인 Walter Mebane 교수가 '부정선거'라고 분석한 사실을 공개했다.
정 준교수에 따르면 통계학적 방법으로 선거부정 여부를 밝히는 연구를 하는 Mebane 교수는 이 분야의 최고 권위자이다. 이란 부정선거를 밝히는데 Mebane 교수가 큰 역할을 하기도했다.
정 준교수는 이날 "이번 총선 결과에 관해서 하도 논란이 많아서, 제가 Mebane 교수님께 직접 이번 총선 결과에 대한 분석을 의뢰했는데, 오늘 때마침 일차적인 결과를 저에게 보내주셨다"면서 Mebane교수가 보내준 이메일 사진들 첨부했다.
그러면서 "결론부터 얘기를 하자면, Mebane 교수의 모형에 따르면, 이번 총선에서는 전체 투표수에서 약 7%정도가 '선거부정'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 준교수는 "Mebane 교수의 모형이 정의하는 '선거부정(fraud)'이란, (1) 기존에 없던 표를 당선자에게 준 경우거나, (2) 상대 후보로부터 표를 빼앗아서 당선자에게 준 경우"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때, '점진적 선거부정 (incremental fraud)'은 이와 같은 선거부정이 '적당한 수준(moderate proportions)'으로 일어났다는 것을 의미하고, '극단적 선거부정 (extreme fraud)'는 상대 후보의 득표를 전부 다 빼앗아서 당선자한테 몰아주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정 준교수는 "Mebane 교수의 분석에 따르면, 이러한 '점진적 선거부정'이 발생한 지역구는 전국적으로 총 244개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때, Mebane 교수의 모형은 각 정당의 사전득표율과 당일득표율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고) 차이가 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이미 고려하고 있다"면서 "Mebane 교수에 따르면, 선거부정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구에서는 각 정당의 사전득표율과 당일득표율의 차이가 그러한 차이를 훨씬 더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준교수는 "Mebane 교수님의 분석은 계속 진행중이고, 현재 각 지역구에서 정확하게 몇 개의 표가 조작되었는지를 계산하고 있다"면서 "Mebane 교수님으로부터 답장을 받게 되면, 또 소개해드리도록 하겠다"고 했다.
금번 415 선거의 부정선거, 선거조작 의혹을 밝혀낸 미시건대 "Walter Mebane"는,
지난 한국산 전자개표기를 사용했던 이란의 부정선거를 밝혀낸 통계학 최고 권위자라고 한다.
- 부정선거, 조작선거 의혹.
- 사전투표 결과 통계적으로 이해안돼.
- [경악] 415 총선 개표에 중국인 참여.
- 미시건대 통계학 최고 권위자, 415총선 부정선거 밝혔다.
- “부여개표소 분류기 이상했다” 선관위 “기계 이상없다”
- 요거봐라~ 붙어있는 투표용지~
부정선거 통계분석 최고 권위자 Mebane 교수,
"4.15총선 조사 필요성 충분하다"
< Wlater mebane 교수 프로필 >
29일, 정훈 와세다 대학교 정치경제학부 준교수는 "오늘 Mebane 교수님으로부터, 이번 대한민국 21대 총선에 대한 결과보고서를 받았다"면서 "Mebane 교수님의 결과보고서는 누구든지 다음 주소에서 자유롭게 다운받아 보실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 준교수는 다운로드 가능한 주소와 함께 "여러분들의 편의를 위해, 선요약과 함께 핵심내용을 정리해드리겠다"며 요약 내용을 페이스북에 공개했다.
정 준교수에 따르면 통계학적 방법으로 선거부정 여부를 밝히는 연구를 하는 Mebane 교수는 이 분야의 최고 권위자이다. 이란 부정선거를 밝히는데 Mebane 교수가 큰 역할을 하기도했다.
- 월터 미베인 교수의 2020년 4월 15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 관한 통계분석 PDF 파일을 다운로드 하고 싶다면 : http://www.umich.edu/~wmebane/Korea2020.pdf
● 선 요약 ●
1. 통계분석의 결과, 이번 21대 총선에서는 부정투표에 의한 선거부정이 일어났을 지도 모른다는 의혹을 준다.
2. 대부분의 부정투표는 ‘사전투표’에서 발생하였다.
3. 이러한 선거부정은 비단 민주당이 승리한 지역구에서 뿐만 아니라, 통합당이 승리한 지역구에서도 나타났다.
4. 통계모형에 따르면, 이번 21대 총선에서 전체 투표수의 7.26% 가 부정투표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민주당이 승리한 지역구로 한정할 경우, 전체 투표수의 10.43%가 부정투표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5. 다만, 우리가 유념해야 할 점은, 통계모형에서 선거부정이 발생했다는 사실만으로는 그것이 현실 세계에서 '실제로' 불법적인 선거부정이 일어났다는 것에 대한 ‘확증적인 증거’가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번 총선에서 실제로 불법적인 선거부정이 발생했는지 여부는 추후의 조사를 통해서 밝혀질 수밖에 없다.
* (개인적인 의견 - 정훈 와세다대 준교수) : 이상으로 볼 때, 이번 총선 결과에 대한 선거부정 의혹은 단순한 ‘음모론’이나 ‘선거불복종’으로 치부될 수 없고,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제기되고 있는 합리적인 의혹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통합당이 승리한 지역구에서도 선거부정이 발생했다는 통계분석 결과로 볼 때, 이번 총선에서는 비단 통합당 뿐만 아니라, 민주당 역시 선의의 피해자일 수가 있다. 따라서, 이번 총선과 관련된 모든 의혹에 대한 깔끔한 해소와 바람직한 국민통합을 위해서라도, 수개표에 의해 재검표를 비롯한 추후의 조사작업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된다고 생각한다. 철저한 추후 조사 이후에 선거부정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이 명확하게 밝혀진다면, 이는 얼마나 다행이고 환영할 만한 일인가? 따라서, 수개표에 의한 재검표와 철저한 조사는 결코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행위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더욱더 공고히 하는 길이다.
● 본문내용 정리 ●
(서론)
한국의 21대 총선에서는 현재 선거부정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 적용하고 있는 “선거부정 감지 통계 프로그램” (https://github.com/UMeforensics/eforensics_public)은 이번에 실시된 한국의 21대 총선에서 선거의 결과를 바꿀 수 있었던 “부정투표(fraudulent votes)”가 존재했을 수 있다는 증거(evidence)를 제공한다. (필자 주: Mebane 교수님은 ‘증거(evidence)’란 용어를 사용했지만, 전체적인 내용으로 볼 때, ‘의혹’이라고 이해를 하는 편이 적당할 것 같습니다.)
통계프로그램에서 정의하는 “선거부정” 혹은 “부정투표”는 다음과 같다. (1) 기권/무효표를 가지고 특정 후보자의 표를 새롭게 만들어 주는 행위, (2) 다른 후보자의 표를 빼앗아서 그것을 특정 후보자에게 주는 행위.
주의할 점은 통계모형에서 추정하고 있는 이러한 “선거부정”이 반드시 현실세계에서 일어난 부정 혹은 불법행위의 결과로 나오게 된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통계모형의 결과는 그 자체로 선거부정이 발생했다는 것에 대한 ‘확증적 증거 (definitive evidence)’가 될 수 없으며, 정말로 한국의 21대 총선에서 불법적인 선거부정이 발생했는지는 추후의 수사를 통해서 밝혀져야 할 것이다.
(본론)
첨부된 Figure 4 (민주당 승리 지역구)와 Figure 5 (당 무관 승리자 지역구)는 (a) 당일투표, (b) 우편투표, (c) 재외투표, (d) 사전투표와 같은 4개의 투표방식에서 부정투표가 일어난 투표소의 비율을 산점도로 나타낸 것이다. ‘파란 점’은 ‘정상투표’를 나타내고, ‘빨간 점’은 ‘부정투표’를 나타낸다.
민주당 후보자가 승리한 지역구에서 부정투표가 발견된 투표소의 비율은 다음 순서로 높았다: 사전투표 (43.1%), 당일투표 (3.14%), 우편투표 (0.925%), 재외투표에서는 부정투표가 발견되지 않았다. (Figure 4 참조)
정당과 무관한 지역구의 승리자에게 초점을 맞추게 될 경우, 부정투표가 발견된 투표소의 비율은 다음 순서로 높았다: 사전투표 (22.6%), 당일투표 (2.09%), 우편투표 (0.92%), 재외투표에서는 부정투표가 발견되지 않았다. (Figure 5 참조)
http://www-personal.umich.edu/~wmebane/efslides.pdf 에서 설명한 '반사실적 추론(counter factual) 방법'으로 계산된 부정 투표수는, 민주당이 승리한 지역구의 경우, 전체투표수의 10.43% (= 1,491,548개의 표)가 부정투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당과 무관한 당선자 지역에서는, 전체투표수의 7.26% (= 1,171,548개의 표)가 부정투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어느 지역구에서 부정투표가 일어났다고 해서, 그것이 반드시 당선자가 달라지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부정투표의 결과로 당선자가 뒤바뀌게 된 선거구는 과연 몇 개나 될까?
집계된 총 252개 (1개의 지역구가 집계가 안 됨)의 지역구 중 16개의 지역구에서 부정투표에 의해 당선자가 뒤바뀌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중에서 9개의 지역구는 민주당이 승리를 가져갔고, 6개의 지역구는 통합당이 승리를 가져갔으며, 1개의 지역구에서는 무소속이 승리를 가져가게 되었다.
(결론)
주의 :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통계모형에서 추정하고 있는 이러한 “선거부정” 혹은 “부정투표가”가 반드시 현실세계에서 일어난 부정 혹은 불법행위의 결과로 나타난 것은 아닐 수 있다. 사전투표와 당일투표 사이에 존재하는 현저한 투표양상의 차이는 불법적인 선거부정 때문이 아니라, 다른 사회적 요인으로부터 비롯되었을 가능성도 분명 있다. 따라서, 통계모형의 결과는 이번 21대 총선에서 불법적인 선거부정이 일어났다는 것에 대한 확증적인 증거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러한 통계적 결과는 21대 총선에서 실제로 불법적인 선거부정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조사를 해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
아래는 다운로드 받을수 있는 "월터미베인" 미시건대 교수의 2020년 4월 15일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결과를 분석한 PDF 보고서를 이미지로 첨부한 것이다.
"Frauds in the Korea 2020 Parliamentary Election"
4.15 대한민국 21대 국회의원선거가 조작이었다는 의혹이 세계적으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월터 미베인(Walter R. Mebane, Jr.) 미시건 대학교 정치학 교수의 과거 경력이 새삼 화제가 되고 있다.
월터 미베인 교수는 지난달 28일 보고서를 통해 대한민국의 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통계치를 보고 "자신이 본 선거 자료 중에서 가장 놀라운 것" 이라고 밝히면서 "2020년 한국총선의 사기 가능성이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 [출처 sur-vie] 월터 미베인 교수 4차 보고서가 또 나왔네요 (완결판) ... 415 부정선거
- [출처 sur-vie] 가로세로연구소 월터 미베인 교수 인터뷰 핵심 3가지 요약
You must be logged in to reply to this topic.